Untitled Document
총 97개
1/13
  • 동안중심클리닉 조창환 원장님께서 매거진 D&PS 2025년 7월호에 ‘2017~2025년 미용의학 트렌드: ‘안면 노화의 해부학적 진단’을 주제로 칼럼을 게재해주셨습니다. -칼럼 내용- 얼굴의 노화는 20대 후반부터 서서히 시작되어 30대 중반 이후 본격화되며, 진피층이 얇아지고 지방이 재배치되며 근육과 인대가 이완되어 얼굴의 구조적 지지력이 약해진다. SMAS층과 유지 인대(retaining ligament)가 느슨해지면서 지방이 아래로 이동(migration)하고, 이로 인해 얼굴의 처짐과 주름이 심화된다. 특히 눈 주위는 피부가 얇고 구조적으로 약해 주름, 꺼짐, 지방 돌출이 잘 발생하며, 눈꺼풀 피부의 주름, 눈 밑 지방 돌출(‘눈밑지방이 튀어나왔다’는 표현)과 눈물고랑(tear trough) 형성이 대표적이다. 눈 주위 지방이 아래로 처지고 근육이 약해지면서 인상이 피로하고 노화된 이미지를 주며, 인대 구조가 느슨해지면서 지방 재배치가 발생해 중안면 볼륨이 변하고 깊은 고랑이 만들어진다. 입가 주름은 크게 두 가지 기전으로 발생한다. 첫째는 옆 볼(paranasal) 볼륨 감소로 인해 nasolabial fold(팔자주름)가 심화되는 것이고, 둘째는 orbicularis oris muscle 주변의 구조적 변화로 주름이 고정되어 깊게 자리 잡는 것이다. nasolabial fold 위의 superficial fat이 얇아지고 고정성 주름이 형성되며, levator labii superioris나 zygomaticus major/minor와 같은 근육의 움직임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마리오네트 라인(입가 처짐선)은 입가 아래쪽의 지방 이동과 인대 약화로 인해 생기며, modiolus(입가 근육결절)의 위치 변화가 이러한 주름을 심화시킨다. 특히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인은 modiolus가 아래쪽에 위치해 입가 처짐이 더 쉽게 발생하며, commissural line (입꼬리 주름선)도 피하 지방과 인대 구조의 약화로 더욱 심해진다. 하안면(Jowl) 처짐은 지방 패드(fat compartment)가 아래로 이동하고 mandibular septum이 느슨해지면서 발생한다. platysma m.을 포함한 연부조직이 약해지면서 피부가 늘어지고 지방이 아래로 몰리며, mandibular ligament의 약화가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midface(중안면)의 유지 인대 약화도 jowl 처짐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또한 노화가 진행되면서 골격 자체의 변화(bony change)도 얼굴 하부의 형태를 바꿔 하안면 처짐을 가속화한다. 결국 노화는 피부, 지방, 근육, 인대, 골격이 함께 변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볼륨을 채우는 접근을 넘어서 해부학적 구조의 복원과 유지가 필요하다. 지방의 분포와 질을 관리하는 ‘Facial Fat Fitness’ 개념이 중요하며, 인대, 지방 패드, 근육의 해부학적 이해를 기반으로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현대 미용의학은 얼굴이라는 조각을 단순히 채우는 것이 아니라, 해부학적 조화와 젊은 움직임을 복원하는 정밀한 과학으로 진화하고 있다.
  • 동안중심클리닉 조창환 원장님께서 매거진 D&PS 2025년 6월호에 ‘2017~2025년 미용의학 트렌드 얼굴의 미학: 구조, 인식, 치료’이라는 주제로 칼럼을 게재해주셨습니다. -칼럼 내용- 최근 미용의학은 단순한 외모 개선을 넘어 해부학적 구조와 뇌의 인지 방식, 그리고 노화의 과학적 이해를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어.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황금비율(1:1:0.8)에 가까운 얼굴에 아름다움을 느끼며, 이러한 인식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변화해왔다. 과거 조선시대에는 둥글고 풍요로운 인상을 미인상으로 여겼다면, 현대에는 입체적이고 균형 잡힌 얼굴이 선호된다. 특히 눈·코·입의 위치와 각도, 얼굴 볼륨의 분포는 뇌가 아름답다고 판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노화는 20대 후반부터 시작되며, 진피층의 감소와 지방 이동, 근육과 인대의 이완으로 이어진다. 대표적으로 하안면(jowl) 처짐과 마리오네트 라인 형성은 mandibular ligament 약화와 지방의 아래로의 migration에 따른 구조적 변화의 결과다. 또한 건강한 얼굴은 균형 잡힌 지방세포의 분포를 갖지만, 노화가 진행되면 지방세포 수는 줄고 크기만 커져 얼굴은 무거워 보이고 인상은 피로해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지방의 볼륨뿐 아니라 질까지 고려한 ‘Facial Fat Fitness’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궁극적으로 아름다움은 구조적 비율, 표정 전달력, 피부 탄력, 뇌의 선호 패턴이 어우러져 형성된다. 이제 미용의학은 얼굴이라는 조각을 단순히 채우는 것이 아니라, 해부학적 조화와 젊음의 움직임을 복원하는 정밀한 과학으로 진화하고 있다.
  • 동안중심클리닉 조창환 원장님께서 매거진 D&PS 2025년 5월호에 ‘2017~2025 미용의학 트렌드 – EBD가 지방세포를 자극하는 기전’이라는 주제로 칼럼을 게재해주셨습니다. -칼럼 내용- 최근 미용의학에서는 단순한 피부 탄력 개선을 넘어, 에너지 기반 장비(EBD)를 활용해 지방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치료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고주파(RF)나 레이저 시술은 피부 내 온도 상승을 유도해 지방조직의 선택적 자극, 콜라겐 리모델링, 섬유화 유도 등 다양한 재생 반응을 일으킨다. 지방조직은 부위별로 콜라겐 밀도와 성숙도 등이 달라 반응에 차이를 보이며, 피부 내부의 dWAT 층과 caveolae 구조, caveolin-1의 발현 수준 또한 치료 반응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노화가 진행되면 caveolin-1이 감소해 상처 회복력과 피부 재생 능력이 저하되므로, EBD를 통해 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향후 미용의학에서는 피부의 전기적 특성, 지방조직의 미세구조, 세포 간 신호 전달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맞춤형 에너지 시술 전략이 핵심 트렌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동안중심클리닉 조창환원장님께서 매거진 D&PS 2025년 4월호에 ‘2017~2025 미용의학 트렌드 – Facial Aging Process IV: 얼굴의 지방과 노화’라는 주제로 칼럼을 게재해주셨습니다. -칼럼 내용- 얼굴 노화는 단순한 피부 탄력 저하만이 아닌,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 변화, 지방층의 재배치, dWAT(피부 백색지방층)의 기능 저하 등 복합적인 지방 조직의 변화에서 비롯된다. 특히 젊은 얼굴은 지방세포가 건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얼굴의 입체감과 탄력을 살려주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지방세포가 불균형하게 팽창하거나 처지면서 인상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중안면 꺼짐, 볼살 처짐, 턱선 붕괴 등으로 이어지며 결국 전체적인 얼굴 하부 구조의 노화로 확장된다. 또한 피부 내부의 dWAT 층은 염증 조절과 피부 재생에 관여하는 중요한 조직으로, 이 층이 위축되면 리프팅 시술의 반응도 저하될 수 있어 시술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레이저, HIFU, 고주파 등 에너지 기반 장비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지방 조직을 건강하게 재배열하고 dWAT를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며, 개인의 피부 구조와 지방 상태에 맞춘 맞춤형 리프팅 전략이 향후 미용의학의 핵심이 될 것이다.
  • 동안중심클리닉 조창환원장님께서 매거진 D&PS 2025년 3월호에 20017~2025년 미용의학 트렌드 ‘Facial Aging Process III : 얼굴 하부의 노화’에 관련한 칼럼을 게재해 주셨습니다. -칼럼 내용- 얼굴 하부 노화는 피부 처짐, 지방 패드 이동, 인대 이완, 근육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한다. 특히 중안면(midface)의 노화가 얼굴 하부 변형에 큰 영향을 미쳐, 이를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Jowl(처진 턱살)은 SMAS층(피부-근육 사이 조직)이 느슨해지고, 중안면 지방층(midfacial fat)**이 아래로 이동하며 발생한다. 턱뼈 격막(mandibular septum)의 이완이 진행되면서 턱선이 무너지고, 피부 늘어짐과 이중턱이 형성된다. Marionette Line(마리오네트 주름)은 하악 인대(mandibular ligament)의 구조적 변화, 지방 패드 이동, 입 주변 근육(DAO, mentalis muscle) 변화로 인해 생긴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하악 인대가 피부를 단단히 붙잡아 더욱 깊은 주름이 형성된다. 이를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해 울쎄라, 써마지 등의 리프팅 시술, 필러, 실 리프팅이 효과적이며, 중안면 볼륨 유지와 근육층 강화가 핵심이다. 얼굴 하부 노화를 늦추려면 피부 탄력, 지방 패드 이동, 근육 톤을 균형 있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동안중심클리닉 조창환원장님께서 매거진 D&PS 2025년 2월호에 20017~2025년 미용의학 트렌드 ‘Facial Aging Process II : 중안면부의 노화’에 관련한 칼럼을 게재해 주셨습니다. -칼럼 내용- 눈 밑(하안검) 부위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변화하며, 이는 눈 주변부의 구조적 변화와 함께 얼굴 전체적인 인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피부 탄력이 저하되고 지방이 돌출되거나 꺼지면서 피곤하고 나이 들어 보이는 인상을 줄 수 있다. 1. 하안검 부위의 노화 과정 눈 밑 피부는 매우 얇고 섬세하기 때문에 노화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 피부 탄력이 감소하면서 잔주름이 생기고, 지방이 돌출되거나 꺼지면서 다크서클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 또한, 눈 주변 근육과 연부조직이 약해지면서 눈 밑이 처지고, 이러한 변화가 누적되면 전체적인 얼굴 윤곽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2. 눈 주변부 구조 변화와 팔자주름 눈 밑의 변화는 단순히 그 부위에 국한되지 않고, 중안면(볼 부위)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볼의 지방 패드가 아래로 처지면서 팔자주름이 깊어지고, 상대적으로 눈 밑의 골격이 도드라져 보이며 노화가 더욱 뚜렷해진다. 또한, 눈가와 관자부(측두부)까지 변화를 겪으면서 눈꼬리 주변으로 주름이 확장될 수 있다. 이처럼 하안검과 눈 주변부의 변화는 개별적인 요소가 아니라 얼굴 전체적인 조화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개인마다 노화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맞춤형 관리와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 동안중심클리닉 조창환원장님께서 매거진 2025년 1월호에 2007~2024년 미용의학 트렌드 ‘Energy Based Device의 진화 VII I: Facial Aging Process’에 관련한 칼럼을 게재해 주셨습니다. -칼럼 내용- Needle RF(고주파) 레이저는 눈 주위와 얼굴 상부의 노화 징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비침습적 시술이다. 이 시술은 피부 진피층에 열을 전달하여 콜라겐과 엘라스틴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 깊은 곳까지 작용해 주름과 탄력 저하, 처짐을 개선한다. 특히, Needle RF 레이저는 눈가 주름과 잔주름을 부드럽게 완화하며, 피부에 리프팅 효과를 더해 전반적인 피부 톤과 결을 매끄럽게 가꿔준다. 피부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깊이 있는 자극을 제공하므로 민감한 눈 주위와 얼굴 상부에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눈 주위와 상부의 노화 문제를 해결하고 싶거나, 자연스럽고 생기 있는 피부 개선 효과를 원하는 분들에게 Needle RF 레이저는 최적의 솔루션이다. 꾸준한 관리와 함께 진행하면 주름 완화와 탄력 강화, 전반적인 피부 상태 개선을 모두 기대할 수 있다.
  • 동안중심클리닉 조창환원장님께서 매거진 D&PS 2024년 12월호에 2007~2024년 미용의학 트렌드 정보기술의 발달과 미용의학 ‘Energy Based Device의 진화 VII’에 관련한 칼럼을 게재해 주셨습니다. -칼럼 내용- 최근 리프팅 시술 기술은 통증 감소와 효과 증대를 중심으로 크게 발전하고 있다. 과거 수술적 접근법의 한계를 극복한 최신 비침습적 및 최소침습적 기술은 고주파, 초음파, 레이저 등을 활용해 통증과 부작용을 줄이며 높은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에너지 전달 방식을 정밀히 제어해 피부 손상 없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 냉각 시스템 등으로 부작용을 최소화했다. 티타늄, 온다, 레드터치, 엠페이스와 같은 시술은 시술 후 바로 일상 복귀가 가능하고 안전성이 강화되어 대중화되고 있다. 최신 리프팅 기술은 효과, 안전성, 환자 만족도를 동시에 충족하며 의료 미용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